1. Eclipse 설치
"프로그램 - 우분투 소프트웨어 센터" 에서 Eclipse 선택후 "설치" 한다. (우분투 비스타 테마;;)
시냅틱에서 설치할수도 있지만 그렇게 되는경우 현재는 갈릴레오가 설치되어 패키지 인스톨시
버그로인해 아무것도 못하게된다. 그냥 따라하도록 한다.
2. 안드로이드 SDK 설치
http://developer.android.com/sdk/index.html 에서 리눅스용 ADT 다운로드
홈폴더 밑에 압축을 풀어놓는다 ( /home/lee/android-sdk-linux_86 )
터미널 실행후 "$ sudo gedit ~/.bashrc " 실행
문서 마지막 라인에 "export PATH=${PATH}:~/android-sdk-linux_86/tools" 추가하고 저장
3. 안드로이드 ADT Plugin 설치
이클립스의 "HELP - Install New Software" 클릭
Add 클릭후 Name 항목에 "Android ADT Plugin", Location 항목에
"https://dl-ssl.google.com/android/eclipse/"를 입력한다.
입력후 패키지 목록이 리눅스에서 표시가 되지 않는다. 대충 체크박스위치를
선택하면 밑에 "Next"버튼이 활성화 되는데.. 이때 Next후 다시 Back으로 이전화면으로 가면
제대로 보이게 된다.
(참고 http://developer.android.com/sdk/eclipse-adt.html
ADT설치중 오류 발생시 "http://download.eclipse.org/releases/galileo/" 주소 Add후
"wst server"로 필터링하고 WST Server Adapters 를 설치한다.
4. SDK Component 설치
터미널에서 SDK&AVD 관리툴 실행 "~$ android"
남들은 잘만되던 안드로이드 저장소 URL이 응답이 없다. 이럴땐 https:// 에서 s를
지워주고 하면 된다. 하지만 난 이것도 문제가 있는지 SDK 만 빼고 구글API밖에 나오질 않았다.
그래서 SDK 패키지 설치를 가장 마지막에 한다.
(중간에 ADB 데몬을 재실행한다고 나온다 모두 "Yes" 클릭)
5. 이클립스 재시작 및 설정
"Window - Preferences" 에 Android항목의 SDK Location 항목의 Browse를 클릭, 아까 설치했던
홈폴더밑의 SDK폴더를 가르키도록 하자.
6. AVD Manager 설정
이클립스에서 어느순간 생겨있는(?) 핸드폰아이콘을 클릭한다.
(SDK 및 AVD Manager가 뜨지 않는다면 5번의 SDK Location 설정을 확인한다.)
나온다. 설치역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.
프로젝트 생성도 DDMS등 모든게 정상적으로 동작한다.
※ 우분투 설치후 몇번 시도 끝에 성공하여 포스팅하였다. 우분투는 노트북에서 사용중인데
체감상 사양이 훨씬 더 좋은 데스크탑의 XP위에 구축한 안드로이드 개발환경보다도 빠르다.
그저 OS차이에서오는 이클립스속도정도의 수준이 아니라 에뮬레이터의
부팅시간조차도 더 빠르다. 같은 Linux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인가.. 이제 집에서만 하던 프로젝트를
USB담아 회사와 집을 오가며 짬짬히 코딩할수 있게되었다.
'Linux > 우분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최고의 브라우져 구글 Chromium 6 (0) | 2010.06.30 |
---|---|
리눅스(우분투)에서 League of Legends 를 돌리자 (for Wine) (2) | 2010.06.29 |
우분투 10.04 아이폰 MP3 넣기 (0) | 2010.05.07 |
우분투 10.04 LTS 릴리즈 !! (0) | 2010.04.29 |
우분투 9.10 에서 ATI Mobility HD2600 드라이버+듀얼모니터 (0) | 2010.02.19 |